For TJ

For TJ


일본군 위안부(日本軍慰安婦) 또는 일본군 성노예 제도(日本軍性奴隸制度)는 일본의 전쟁범죄 중 하나로, 일본 제국 정부의 관여 및 묵인 하에 자행된, 식민지 및 점령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시강간 등 성범죄 행위를 이른다.일본 정부는 2차 세계대전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을 해소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다만 군대의 기밀 유지를 위하여 별도의 성행위 장소인 군대 위안소를 만들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모집하여 관리했다. 이것이 자기들의 용어로 '위안부'였다. 이 위안부의 모집에 문제가 있었고, 대표적인 사례로 취업 사기가 있었다. 일본 본토, 한반도, 대만에서 포주들이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며 모집하였는데 막상 도착한 곳은 위안소인 식으로 여성들을 끌어들였다.최근까지도 이 역사적 과오이자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며 2020년 5월 현재 위안부 피해자 17명이 생존해 있기까지[2] 제대로 된 사과가 없는 사건이다.


위안부라고 불리는 이유는 사실 좀 더 직설적 표현인 '성노예'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실제로 2016년 설립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에도 이 명칭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중 이 단어로 본인들을 지칭하는 것을 너무 더럽고 부끄럽다는 이유로 싫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제한적으로만 쓰인다. 학술적인 면에서는 '성노예'라는 표현을 쓸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피해자 할머니들은 보수적인 성문화 및 노비라는 노예제가 사회적으로 아직 영향을 남긴 옛 환경에서 성장하였기에 '성노예'라는 표현을 부각해서 사용하는 건 2차 가해로 해석되기도 한다.


일본군 위안부의 국적은 대부분 점령지 여성들이었다. 전쟁초기에는 일본에서 창기와 기녀들이 동원되었지만, 전선이 넓어지자 이동의 불편이 적은 현지여성들이 점차로 선호되었는데, 중국전선에서는 중국여성들이, 태국에서는 태국여성들이 우선적으로 동원되는 식이었다. 이들 현지여성들로도 필요한 숫자가 모자라게 되면서 일본 전체 점령지역에서 위안부가 동원되었다.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을 때 대한민국, 북한,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미얀마, 베트남, 라오스, 필리핀, 캄보디아, 심지어는 당시 주권국이었던 태국, 아시아 국가들을 식민통치하거나 자신들의 영토가 있던 네덜란드, 출신 등 여러 국가 출신의 여성들이 강제로 일본군에 위안부로 끌려갔다.


증언에 의하면 구타와 가해가 일상적이었고, 군도나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고문, 학대가 흔하였다고 한다.(성고문, 자궁적출, 태아 살해, 강제 문신 등의 행위들도 자행되었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기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막장 일본군의 수준에 맞게 극도로 떨어져서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중일전쟁 중이던 1938년 중국에 있던 일본 영사관이 외무성과 연락하기 위해 작성한 것들이다. 중국 칭다오(靑島) 주재 일본 총영사관이 보낸 전통문에는 “육군 측은 병사 70명에 대해 1명 정도의 작부(위안부)가 필요하다는 의향”이라고 기재돼 있다. 한 보고서에는 “내지인(일본인) 예기(게이샤) 101명 및 작부 110명, 선인(조선인 비하 표현) 작부 228명”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군과 외무성이 국가 차원에서 위안부를 전쟁터로 보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근거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 주오대 명예교수는 “고노 담화에서는 ‘군의 관여’라는 모호한 표현을 사용했으나 위안부 제도를 군이 만들고 유지ㆍ운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증거”라고 평가했다.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간토가쿠인대 교수는 “군이 주체적ㆍ계획적으로 여성을 모으기 위해 영사관을 통해 외무성에


의사를 타진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라고 풀이했다.일본 정부의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은 일본 시민단체에 의해서도 거듭 확인됐다. 도쿄(東京) 신주쿠(新宿)에 위치한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ㆍwam)’은 7일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의 위안소를 표기한 지도를 공개했다. 2009년 첫 ‘일본군 위안소 지도’를 펴낸 wam은 이번 지도에서 이후 10년간 새로 나온 피해자와 목격자의 증언, 군인들의 회고록, 공문서와 군 관련 자료, 연구자들의 조사 내용 등을 수집ㆍ반영했다.이 지도에는 한국과 일본 외에도 대만, 베트남, 필리핀, 태국, 중국, 러시아, 미국령 괌 등 20여개 국가 내 위안소가 설치됐던 지명들이 표시돼 있다. 각 지명을 누르면 해당 지역에서 이뤄진 범죄 관련 상세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1997년 일본의 재단법인인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이 발간한 것으로 당시 일본 외무성이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편찬한 것이다. 600쪽 분량의 자료집 152쪽에서 발견한 문서의 내용은 이렇다.


'증명서'라는 제목의 이 문서는 1940년(소와 15년) 중국을 침략하던 일본군 엔다(鹽田) 병단의 하야시 요시히데 부대장이 산하 '위안부소'의 관리자에게 발급한 것이다.


이 문서에는 "이 사람은 위안부소 관리자로 위안부를 '연행'(連行)해 파병단으로 돌아(귀나·歸那)온다. 위안부는 부대에 꼭 필요하니 위안부소 관리자가 도항(바다를 건너는데)에 있어서 편리를 도모하고 어려운 일이 없도록 하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다만 증명서에는 위안부소 관리자의 이름과 주소가 지워져 있어 관리자 누구를 지칭하는지는 알 수 없다. 나이만 22세로 표기돼 있다.


1940년 9월 19일 일본 육군성 부관이 작성한 ‘군기진작대책’ 에서는 ‘위안 시설은 사기 진작, 군기강 유지, 범죄 및 성병 예방 등에 대한 영향이 크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교육지도 참고자료를 송부했다고 밝혔다. 일본 후생성이 해방 전후 위안부 신상기록을 담아 작성한 ‘유수명부’가 2005년 발견되기도 했다. 1994년 미군이 작성한 증인보고서에는 포로들이 증언한 일본군 위안부 모집·관리 실태가 담겨 있다.


일본 역사학자 요시미 요시아키는 ‘일본군 군대위안부’를 책으로 써 ‘위안부는 없다’던 일본 정부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또한, 일본의 여성을 위한 평화기금에서는 ‘정부조사 종군위안부관계자료집성 전 5권’을 펴냈다. 한국 외교부는 1992년 7월 일본 정부의 조사를


근거로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 자료집을 냈고, 네덜란드 정부도 1994년 ‘일본 점령하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의 네덜란드인 여성에 대한 강제매춘’ 보고서를 발표했다. 쏟아지는 증거들 앞에서 물러설 곳이 없어진 일본은 1993년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 명의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사과 담화를 발표했다. 하지만 아베정부는 이를 거부하였으며 위안부에대한 실태를 숨기고있는상황이어서 양국관계는 더욱 악화중이다.


2013년 기준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전 세계에서 모두 115건이 채택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지난 7일, “우리나라는 61건의 결의안을, 미국과 호주 등 8개국 중앙, 지방의회는 모두 54건의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밝혔다.특히 일본에서는 지난 2008년부터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시민단체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지방의회에서 모두 40건의 결의문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일본 의회 차원의 결의안 채택은 한 차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은 지난 1998년 캘리포니아 하원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한 것을 시작으로 모두 8건의 결의안이 채택됐으며, 호주 상원, 네덜란드 하원, 캐나다 하원, 필리핀 하원, 대만 입법원 등이 결의안을 통과시켰다.각국 의회가 채택한 결의안은 일본 정부의 역사적 책임 수용,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사죄와 보상 등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07년 11월 8일, 네덜란드 하원은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캐나다에서도 같은 해 11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일본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위안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으며, 12월 13일에는 유럽의회가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2008년 3월 11일에는 필리핀 하원이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위안부의 존재에 대한 일본 일각의 부정, 비판은 유엔 문제로까지 확산되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2008년 10월 30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하여 일본이 위안부 동원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 보상하여 피해자의 존엄성을 회복시켜야 하며, 이를 학생과 대중에게 알리고 부인하지 말 것을 촉구하였다.또한 유엔 인권이사회는 2017년에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일본 인권상황에 대한 ‘보편적 정례 인권 검토’(UPR) 회의 결과를 토대로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성의있는 사죄를 하고 희생자에 대해 보상하라”고 요구하는 권고를 내렸다


최근 주목할만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데, 2015년 5월 6일 전세계적으로 저명한 역사학자들이 모여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공개서한'이라는 성명서를 공개했다. 이


성명서는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에게 보내진 이후 국내 연합뉴스와 연합뉴스TV를 통해 공개된 것이다. 이 집단성명에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역사학자 187명의 서명이 들어가있으며,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왜곡하지 말고 사실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특이할 점은 이 성명서에 이름을 올린 학자들 중 일부는 일본 근·현대사를 다룬 연구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기록이 있으며, 일본 정부가 수여한 상을 받은 학자들도 다수 포함되어있다는 것. 더불어 단순히 일회성에 그친 일이 아니라 참여하는 학자들이 점점 늘어나고있다! 2주가 지난 19일에 집계된 학자들은 456명으로 2배 이상 늘었다 현재는 13000명으로 집계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의 위안부와 관련된 사실적인 자료가 각국에서 쏟아지는 가운데에


일본은 각국 피해자들에게 사과한마디없이 묵인하고 역사를 숨기기에 급급하고있다.


심지어 곧 열릴 도쿄 올림픽에서는 식민지배때 쓰였던 욱일기( 나치국기와 같은 의미의 욱일기이다) 로 응원할 예정이어서 일본에게 상처받았던 많은 위안부 피해자들과 일본에게 점령당했던 많은 식민지 국가들에게 2차적인 정신적 피해를 줄 예정이다.

Report Page